2013년 1월 22일 화요일

페트루스 올리비(Peter Olivi)의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한 생각


페트루스 올리비(Peter Olivi)의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한 생각

유대칠 옮김
(토마스 철학 학교)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그리스도교 철학자다그의 논의는 상당 부분 그리스도교 신앙의 것과 조화되기 힘들다이러한 상황에서 중세 많은 철학자들은 나름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저마다의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그리고 이러한 입장들은 그들의 철학에 반영되었다-그리스도교 철학자이지만아리스토텔레스를 강력한 영향력을 가졌으며무시하기 힘든 철학자였다어떤 의미에서 인간 지성의 최고점이란 칭송을 받기도 했다오캄둔스 스코투스토마스 아퀴나스 등 많은 철학자들이 그의 저작에 대한 주해를 남겼으며그의 철학적 논의에 대하여 깊이 성찰하였다그러나 스콜라 철학자들은 그의 비-그리스도교 철학자라는 것은 분명히 인지하고 있었고올리비는 신앙의 문제에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드러낸다물론 올리비의 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적 요소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그는 여전히 그를 인용하고 있으며그의 논변을 두고 고민한다하지만 신앙에 대한 입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 분명히 선을 긋고 있다.

α> Catherine König-Pralong "Olivi et le formalisme ontologique Lectures dAristote dAverroès et critique dAlbert, " in Pierre de Jean Olivi - Philosophe et théologien, ed. Catherine König-Pralong, Olivier Ribordy, Tiziana Suarez-Nani, (Walter de Gruyter, 2010) 135-168. 161.

β> Peter John Olivi. Quastiones in secundum librum Sententiarum, ed. B. Jansen (Quaracchi: Ad Claras Aquas, 1922) v. 3, Quaestio XVI, 342.

α> Aristoteles etiam non hic videtur ibi sentire, licet mihi non sit cura quid hic vel alibi senserit; cuius enim auctoritas et cuiuslibet infidelis et idolatrae mihi est nulla, et maximae in iis quae sunt fidei christianae aut multum ei propinquam.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이것에 관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생각한 듯 여겨지지 않는다비록 나에게 그가 이것 혹은 다른 것에 관하여 무엇을 생각하였는지를 고려의 대상이 아니지만그의 이교적이고 우상화된(idolatae) 모습과 그의 권위는 나에게 아무 것도 아니다특히나 이 문제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에 속하는 문제 혹은 그것에 대하여 다루는 것에서 말이다.
β> decimum dicendum quod christiano viro sola scriptura sacra et fides catholica debet esse in robor et culmen auctoritatis; et ideo posito quod omnes pagani falso dicti philosophi contrarium senserint aut aliqui eorum, non est mihi cura.
열 번째 논의에 대하여 그리스도교인에게 오직 성서와 보편적 신앙만이 권위의 핵심이고 최상의 상태라고 말 되어야 한다그러므로 비록 철학자라 불리는 이교도들이 반대되는 것을 생각하거나 혹은 그 가운데 일부를 생각해도 나의 관심을 끌지 못한다.



<이 번역문의 무단 인용은 금합니다. 혹시나 인용시 꼭 토마스 철학 학교 블로그 혹은 Thomas Philosophia Schola Blog로 부터의 인용이란 출처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둔스 스코투스의 면도날- 후기 중세 철학자들에게 필요성과 철학방법론의 문제


스코투스의 면도날!
- 후기 중세 철학자들에게 필요성과 철학 방법론의 문제
 
유대칠 생각하고 정리함
(토마스철학학교)
 
철학을 함에 있어서 필요 이상의 것을 가정하고, 그것을 실재하는 것으로 여기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흔히 윌리엄 오캄(William Ockham)의 면도날 혹은 면도칼로 유명하다. 그러나 그보다 앞선 시기에 이미 그러한 면도날은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와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에게서 발견할 수 있다.
 
아래의 글은 The Extremely Subtle Questions on the Books of Metaphysics of Aristotle, Book VIII, Q.1, n.22에서 발췌되어 번역되었다.
 
Aliter dicitur ad quaestionem quod paucitas semper est ponenda quando per ipsam salvantur apparentia . . . Et ideo positio plurium semper debet dicere necessitatem manifestam propter quam ponantur tot; nihil autem apparet in accidentibus propter quod debeant poni composita ex duabus partibus essentialibus, communiter loquendo . . .Ideo communiter negatur talis compositio.
다른 방식으로 [우유는 단순한 것인가 혹은 복합된 것인가라는] 물음에 우리는 항상 그 자체에 의해 구제될 수 있는 현상이 있을 때 몇 가지만을 취해야한다고 답해야 한다... 그러므로 더 많은 것이 가정될 때, 우리는 다수의 것이 가정되기 때문에 항상 명백하게 필요한 것만을 판단해야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우유가 두 가지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합성되어질 분명한 근거가 없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그러한 합성은 거부되어야 한다.
 
우리가 흔히 오캄의 면도날 혹은 면도칼이라고 하는 것은 오캄만의 전유물(專有物)이 아니다. 방식이 다를 뿐, 중세의 많은 철학자들의 각자 나름의 자리에서 필요 이상의 논리적 산물을 양산하고 싶어 하지 않았다. 이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철학자의 태도다. 토마스 아퀴나스 역시 그의 신학대전1, q.2, q.3에서 나름의 면도날을 보이고 있다. “적은 논리를 통해 완성되어질 수 있는 것이 다수에 의하여 만들어지지 않는다.”(quod potest compleri per pauciora principia, non fit per plura) 그리고 오캄과 동시대 혹은 그와 시대적으로 서로 교집합을 형성하는 많은 철학자들이 이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면도날은 오캄이 발명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이미 필요 이상의 것을 제거하며 논리를 구성한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도 발견할 수 있는 태도이다. 그런데 왜 철학사는 이를 오캄에게 한정하게 되었는가? 어쩌면 그가 유명론자 혹은 개념론의 길을 가기에 실재론자들과 구별하며, 그가 보편자를 면도날로 잘랐기에, 그의 면도날을 중세 철학사의 면도날의 대표격으로 높인 것일까? 그러나 분명 위와 같이 스코투스 역시 면도날을 주장했다. 물론 토마스 아퀴나스 역시 면도날을 주장했다. 이들은 실재론자들이다.
 
면도날과 관련된 후기 중세 철학자들의 필요성(neccesaritas)과 관련된 진술들은 다음과 같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필요성과 철학의 방법론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논한다.
 
적은 원리로 완성될 수 있는 것은 다수에 의하여 만들어지지 않는다.”Thomas Aquinas, Summa theologiae I, q.2, a.3.
 
둔스 스코투스는 필요성과 철학의 방법론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논한다.
 
다수성(pluralitas)은 필요성(necessitas)이 없을 때 가정되지 않아야 한다.”Duns Scotus, I Ordinatio, d.3, p.3, q.1 ( ed. Balic 3, 224 ).
다수(plura)는 필요성 없이(sine necessitate) 가정되지 않는다.”Duns Scotus, De primo principio 3, 16.
 
윌리엄 오캄은 필요성과 철학의 방법론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논한다.
 
철학자는... 모든 드러난 것이 더 소수의 것을 통하여 나타날 수 있을 때, 다수를 가정하지 않는 명제들을 가정한다.” William Ockham, Expositio in libros physicorum aristotelis, 3, c.10 (OPh.4, 525).
필요성 없이 그리고 근거 없이 다수성이 가정되기에 이는 불합리한 것으로 보인다.”William Ockham, Summa logicae 1, 57 (OPh.1, 185).
심적 명사 가운데 가정되는 그러한 다수성은 그리 큰 필요성으로 여겨지지 않는다.”William Ockham, Summa logicae 1, 11 (OPh.1, 11).
다수성은 필요성 없이(sine necessitate) 가정되지 않는다.”William Ockham, Expositio in libros physicorum aristotelis, 1, c.11, §9 (OPh.4, 118).
 
월터 채톤(Walter Chatton)은 필요성과 철학의 방법론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논한다.
 
다수성은 필요성 없이 가정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Walter Chatton, I Lectura, prol. q.2.
 
 

2013년 1월 14일 월요일

유대칠의 라틴어 강좌 7 - 라틴어 명사의 격변화 형태들

유대칠의 라틴어 강좌 7 - 라틴어 명사의 격변화 형태들



§ 8 명사의 격변화(declinatio)
 
라틴어 명사는 수(numerus)와 격(casus)에 의해서 단의의 의미 형태를 바꾼다. 이것을 라틴어로 declinatio라고 하며, 우리말로는 격변화로 흔히 사용된다. 라틴어 명사의 수는 단수(singularis)와 복수(pluralis)가 있다. 하지만 고전 헬라어에서와 같이 쌍수는 없다.
라틴어 명사의 격은 주격(nominativus), 호격(vocativus), 소유격(genitivus), 여격(dativus), 목적(accusativus), 탈격(ablativus), 지격(locativus)7개가 있지만, 지격은 대부분의 명사가 그 격을 가지지 않아 일반적으로 지격을 제외한 6격으로 문법을 구성한다. 그 가운데 호격은 대체로 주격과 동일한 형태이기에 많은 경우는 5격으로 라틴어 문법을 구성하곤 한다. 그러니 하나의 라틴어 명사는 단수와 복수 각각 5가지의 기본적 격이 있어 총 10가지 형태의 변화를 한다.
 
라틴어의 격변화는 무규칙적이지 않고 일정의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대표적인 몇몇 명사의 10가지 형태만을 학습하였다면, 다른 명사들도 그 변화의 형태를 유추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중요한 것은 대표적 명사의 주격과 소유격을 학습하는 것이다. 이 두 격을 기본적으로 이해한다면, 그 라틴어 단어가 어떤 변화를 하는가를 쉽게 유추할 수 있기에 라틴어 사전은 흔히 주격과 소유격으로 단어를 제시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 라틴어 명사 가운데는 복수형만이 있는 것이 있는데, 이 경우에 한하여 복수 주격과 소유격을 표기하지만, 기본적으론 단수 주격과 소유격만으로 사전에 표기하며, 이를 통하여 이 단어가 어떤 변화에 속하는 단어인지를 알 수 있다.
 
라틴어의 격변화 형태를 정리하면, a, o, i, 자음형, u, e형과 같이 6가지 형태가 된다. 이러한 것은 복수 소유격에 준하여 분류한 것으로 복수 소유격은 모두가 -um의 형태를 가진 어미를 가지지만, -um의 직전 모음에 따라서 -arum이면 a형이 되고, orum이면, o형이 된다. ium이면, i, 그리고 자음+um이면 자음형, -uum이 되면, u형 그리고 -erum이 되면, e형이 된다.
 
또한 라틴어 명사는 대부분의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가 그렇듯이 수와 격에 이어 성(genus)을 가진다. 성을 알지 못하면, 형용사의 수식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없다. 그것은 현대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라틴어 역시 수식하는 형용사는 수식받는 명사에 성과 수를 일치하기 때문이다. 성에는 남성(masculinum)과 여성(femininum) 그리고 중성(neutrum)이 있다. 하지만 중성은 현대 로망어의 일종인 이탈리아어나 프랑스어 등에서는 소실되었으며, 게르만어에 속하는 독일어에는 현재도 존속해 있다.
 
§ 9 격변화 형태의 분류
 
앞으로 진행될 격변화의 각각의 예에 앞서 사전에 등장하는 명사의 주격과 소유격의 형태만으로 어떻게 명사의 변화를 파악하는가를 살펴보자.
 
단수 소유격이 -ae가 되는 경우는 a형태의 격변화에 속하는 명사들이다. 이러한 경우의 명사들은 다음의 것이 있다.
1. 사전에 femina, feminae로 표기되는 명사들은 -a 변화를 하는 a형 명사들이다.
2. 사전에 Aeneas, Aeneae로 표기되는 명사들은 -as 변화를 하는 a형 명사들이다.
3. 사전에 pyrites, pyritae로 표기되는 명사들은 -es로 변화하는 a형 명사들이다.
-> 23의 경우 -as-es는 장모음이 된다.
 
단수 소유격이 -es가 되는 경우에도 a형태의 격변화에 속하는 명사들이다. 이러한 경우의 명사들은 다음의 것이 있다.
1. 사전에 epitome, epitomes로 표기되는 명사들은 -e 변화를 하면, 단수 주격인 -e는 장모음이 되며 소유격인 -es도 장모음이 된다.
 
단수 소유격이 -i이 되는 경우는 위의 경우에 비하여 다소 복잡할 수 있다.
1. 사전에 res, rei로 표기되는 명사들은 e형태의 격변화에 속하는 명사들이다. 이 경우 단수 소유격인 -i는 장모음이 된다. 그리고 단수 주격인 -es도 장모음이 된다.
 
나머지의 것은 o 형태의 격변화에 속한다.
1. 사전에 equus, equi로 표기되는 명사들은 -us로 변화하는 o형 명사들이다.
2. 사전에 donum, doni로 표기되는 명사들은 -um으로 변화하는 o형 명사들이다.
3. 사전에 Delos, Deli로 표기되는 명사들은 -os로 변화하는 o형 명사들이다.
4. Androgeos, Androgei (Androgeo)로 표기되는 명사들은 -os로 변화하는 o형 명사들이다.
5. Ilion, Ilii로 표기되는 명사들은 -on으로 변화하는 o형 명사들이다.
-> 4의 경우는 -os가 장모음이다.
 
그 이외
6. puer, pueri-er, -eri와 같이 어간의 변화 없이 단수 소유격에 i가 더해지는 o형 명사들이다.
7. liber, libri-er, -ri와 같이 어간의 변화가 있으며, 소유격에 I가 더해지는 o형 명사들이다.
 
또한 단수 소유격이 장모음인 -o가 되는 경우에도 o형에 속하는 명사들이다.
8. Androgeos, Androgeo (Androgei)이 그러한 경우이다. 이 경우는 단수 주격인 -os는 장모음이 된다.
 
단수 소유격이 -is가 되는 경우는 i형태 또는 자음형의 격변화를 하는 명사에 속한다.
1. 사전에 vulpes, vulpis와 같이 표기되는 명사들은 -es 변화를 하며 i형 명사에 속한다.
2. 사전에 mare, maris와 같이 표기되는 명사들은 -e 변화를 하며, i형 명사에 속한다.
3. 단수 주격이 -is가 되는 turris, turrishostis, hostisi형 명사에 속한다.
4. 단수 주격으로 -s (-x)가 되는 경우엔 단수 소유격의 어간의 마지막 철자를 확인해야 한다. 자음이 2개인 경우는 i형이며 frons, frondis가 아닌 frons, frontis와 같은 격변화를 한다. 그리고 자음이 1개인 경우는 그 자음이 g, c, d, t, b, p의 하나이면, lex, legis와 같이 변화하고, m이면 hiems, hiemis와 같이 변화 한다. 그리고 이것들은 자음형 변화에 속한다.
 
단수 주격이 어간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그 어간의 마지막 철자를 확인해야 한다. -ar, -aris, -al, -alis인 경우 중성이면, i형의 명사 변화animal, animalis와 같이 변화하고, 남성이나 여성이면, 자음형 명사 변화amor, amorisCaesar, Caesaris와 같이 격변화 한다.
 
이외의 경우엔 성을 확인해야 한다. 중성인 경우는 자음형corpus, corporis와 같이 변화하며, 남성 혹은 여성이면 다시 어간의 마지막 철자를 확인해야 한다. 단수 소유격이 -nis이면 homo, hominis와 같이 격변화를 한다. 그리고 -er, -eris인 경우엔 자음형의 amor, amoris와 같은 변화를 한다. 그리고 -er. -ris인 경우엔 구별할 수 없으며, 이것의 변화는 imber, imbris와 같이 i형 변화의 명사가 있고, mater, matris와 같이 자음형 명사가 있다.
 
단수 소유격이 -us가 되면 u형 명사이며, 이 경우 -us는 장모음이다.
1. 사전에 luxus, luxus와 같이 표기되는 명사들은 u형 변화에 속하는 명사이며, 이 때 소유격 -us는 장모음이 된다.
2. 사전에 cornu, cornus와 같이 표기되는 명사들은 u형 변화에 속하는 명사이며, 이 때 단수 소유격 -us는 장모음이 된다.
 
다음의 사항을 숙지한다면, 라틴어 격변화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 라틴어는 5 가지 격변화 유형을 가진다. 이들은 각각 어간의 마지막 철자와 단수 소유격의 접미사로 결정된다. 아래를 보자.
 
격변화
어간의 마지막 철자
단수 소유격의 접미사
1
ā
-ae
2
ŏ
3
ĭ / 일부는 자음
-īs
4
ŭ
-ūs
5
ē
-ēī / -ĕī
 
1. 2변화 격변화의 -us 변화를 하는 명사의 단수 경우를 제외하면, 호격은 주격과 규칙적으로 같다.
2. 여격 복수와 탈격 복수는 항상 서로 같다.
3. 중성에서 목적격과 주격은 항상 동일하다. 그리고 복수 어미는 이다.
4. 3변화, 4변화, 5변화에서 목적격 복수는 규칙적으로 주격과 같다.
 
 

2013년 1월 9일 수요일

유대칠의 고전 그리스어 4 - 강세


유대칠의 고전 그리스어

고전 그리스어 강세 보론
 
앞으로 그리스어 문법을 다루면서 명사의 변화를 다룰 것이다. 사실 명사의 변화를 다룬 이후에 다루어야 이해에 용이하지만, 이곳이 강세를 다루는 곳이기에 이곳에 다룬다. 차후 명사의 변화를 학습하고 이곳의 내용을 다시 학습하기 바란다.
 
고전 그리스어 명사의 제 1 변화와 제 2 변화는 ultima에 강세가 있다. 그리고 제 3 변화 명사 중 단음절 어간(a single-syllable stem)을 가지는 경우도 ultima에 강세가 있다. 주격과 목적격과 같은 강한 변화는 하나의 강세 유형을 가지며, 소유격과 여격과 같은 약한 변화는 또 다른 것을 가진다.
 
특히 제 1 변화와 제 2 변화 명사는 강한 변화의 경우에 날카로운 강세를 가진다. 그러나 약한 변화에선 곡 강세를 가진다.
 
집회, 시장
γορά, ἀγοράν — γορς, ἀγορ
γοραί, ἀγοράς — γορν, ἀγορας
θεός, θεόν — θεο, θε
θεοί, θεούς — θεν, θεος
 
3 변화 명사는 강한 변화의 어간(語幹)에 강세가 있다. 그러나 약한 변화에선 어미(語尾)에 있다.
 
πούς, πόδα — ποδός, ποδί
πόδες, πόδας — ποδν, ποσί
 
이러한 두 가지 형태는 단일한 법칙으로 요약된다. 즉 강한 변화에선 어간 뒤(post-stem)이고, 약한 변화에선 어미 앞(pre-ending)이다.
 
1 변화와 제 2 변화 명사에서 그 법칙은 더 복잡하다. 모음이 어간을 형성하는 ο 혹은 은 결국 어간이나 어미로 여겨지지 않는다. 그러나 두 개 사이에 교체되며, 그곳에 의존하여 강세가 고려된다. 어간 뒤 강세에 의하면 그것은 어미의 한 부분으로 여겨지며, 어미 앞 강세에 의하면 그것은 어간의 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어미 앞 강세 pre-endingaccent
어간 뒤 강세 post-stemaccent
1변화
γοραά-
γοραά-ν
γορ-άς
γορ-άαε
γορά-ι
γοραά-νς
γορ-άαν
γορ-άας
2변화
θεό-ς
θεό-ν
θε-ό
θε-όε
θεό-ι
θεό-νς
θε-όν
θε-ός
3변화
πόδ-ς
πόδ-ν
ποδ-ός
ποδ-ί
πόδ-ες
πόδ-νς
ποδ-όον
ποδ-σ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