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명사는 어떤 것을 일차적으로 의미하고 또 다른 것을 이차적으로 의미한다. 그러한 명사는 명사가 뜻하는 것을 표현하는 정의를 가진다. 그리고 이는 종종 그 정의에 속하는 것의 하나는 주격으로 또 다른 것은 사격으로 놓여진다. 이것은 ‘하얀 (것)’이라는 명사에서 일어난다. 왜냐하면 ‘하얀 (사람)’이라는 명칭은 그 명칭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하여 질문할 때, ‘하양에 의하여 알려지는 것’ 혹은 ‘하양을 가지는 것’이라는 표현이 바로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의미한다고 말 할 것이다. 이 표현 가운데 하나의 부분은 주격으로 놓이며, 또 다른 부분은 사격으로 놓이는 것이 분명하다.”
오캄 <논리학대전> 1부 10장 발췌
Ockham, Summa logica I, c.10 (OP.1 36, 38-46). “Nomen autem connotatiuum est illud quod significat aliquid primario et aliquid secundario. Et tale nomen proprie habet definitionem exprimentem quid nominis, et frequenter oportet ponere unum illius definitionis in recto et aliud in obliquo. Sicut est de hoc nomine 'album, nam 'album' habet definitionem exprimentem quid nominis, in qua una dictio ponitur in recto et alia in obliquo. Unde si quaeras, quid significat hoc nomen 'album', dices quod illud idem quod ista oratio tota 'aliquid informatum albedine' uel 'aliquid habens albedine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