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한 인물인데... 앞으로 시간이 되면 이 사람에 대해서도 좀 더 깊이 연구하고 싶다. 우선 간략하게 그의 저작들을 한번 소개해 본다. 이후 이 가운데 구해지는 것들은 읽고 공부해서 이곳을 통하여 소개하께요~
버얼리 저작
Quaestiones circa tertium De anima (영혼론 3권에 대한 질문들) – 1301년 이전
Quaestiones in librum Perihermeneias (명제론에서의 질문들) (= QP) – 1301년
Tractatus de suppositionibus (지칭에 대한 논고) (= De sup.) – 1302년
Tractatus super Praedicamenta Aristotelis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에 대한 논고) (= TsP) – 1310년 이전
Commentarius in librum Perihermeneias (명제론에 대한 주해) (= CP) – 1310년 이전
Quaestiones super librum Posteriorum (분석혼 후서에 대한 질문들) (= QPo) – 1310년 이전
Expositio super libros Topicorum Aristotelis (아리스토텔레스의 변증론에 대한 주해) – 1310년 이전
Expositio libri De anima (영혼론에 대한 주해) (= Ean) – 1310년 이전
Expositio librorum Physicorum (자연학에 대한 주해) – 1316년 이전
De potentiis animae (영혼의 능력에 대하여)
De relativis (관계에 대하여)
Expositio in libros octo Physicorum Aristotelis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 8권에 대한 풀이) (= EPhys) – 1324년 이후
Tractatus de formis (형상에 대한 논고) – 1324년 이후
De puritate artis logicae. Tractus longior (논리학의 학계의 순수함에 대하여. 긴 논고) (= De puritate) – 1325년과 1328년 사이
Expositio librorum Ethicorum (윤리학에 대한 주해) – 1334년
Expositio super Artem Veterem Porphyrii et Aristotelis (포르피리우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구 논리학에 대한 주해) – 1337년. 이 작품은 포르피리우스에 대한 주해(= EIs),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에 대한 주해(= EP), 여섯 원리에 대한 주해(= LsP) 그리고 명제론에 대한 주해(= EPh)로 구성된다.
Tractatus de universalibus (보편자에 대한 논고) (= TdU) – 1337년 이후
Expositio super libros Politicorum Aristotelis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 대한 주해) – 1343년
댓글 없음:
댓글 쓰기